2025.04.04 (금)

  • 맑음속초7.9℃
  • 구름많음4.2℃
  • 구름많음철원3.0℃
  • 구름많음동두천4.3℃
  • 구름조금파주2.1℃
  • 맑음대관령-0.3℃
  • 구름조금춘천4.2℃
  • 박무백령도6.4℃
  • 맑음북강릉7.5℃
  • 맑음강릉7.3℃
  • 맑음동해8.4℃
  • 박무서울6.9℃
  • 박무인천6.1℃
  • 구름많음원주6.7℃
  • 맑음울릉도7.7℃
  • 박무수원6.5℃
  • 맑음영월3.8℃
  • 구름많음충주6.6℃
  • 맑음서산3.4℃
  • 맑음울진8.5℃
  • 연무청주8.4℃
  • 박무대전7.9℃
  • 맑음추풍령6.2℃
  • 맑음안동4.2℃
  • 맑음상주5.3℃
  • 맑음포항7.4℃
  • 맑음군산6.1℃
  • 맑음대구6.1℃
  • 박무전주8.2℃
  • 맑음울산7.0℃
  • 맑음창원8.7℃
  • 박무광주7.1℃
  • 맑음부산9.1℃
  • 맑음통영7.4℃
  • 맑음목포5.4℃
  • 맑음여수8.8℃
  • 박무흑산도7.4℃
  • 맑음완도7.6℃
  • 맑음고창3.3℃
  • 맑음순천4.8℃
  • 박무홍성(예)5.4℃
  • 구름많음7.1℃
  • 구름많음제주8.4℃
  • 맑음고산9.1℃
  • 맑음성산10.1℃
  • 맑음서귀포10.4℃
  • 맑음진주5.3℃
  • 구름조금강화6.5℃
  • 구름많음양평5.6℃
  • 구름많음이천5.9℃
  • 구름조금인제2.3℃
  • 구름많음홍천3.6℃
  • 맑음태백3.6℃
  • 구름조금정선군1.1℃
  • 구름많음제천4.9℃
  • 구름많음보은5.4℃
  • 구름많음천안5.4℃
  • 맑음보령5.8℃
  • 맑음부여6.2℃
  • 구름조금금산8.1℃
  • 구름많음7.5℃
  • 맑음부안6.2℃
  • 맑음임실6.3℃
  • 맑음정읍6.7℃
  • 맑음남원6.5℃
  • 맑음장수5.3℃
  • 맑음고창군4.7℃
  • 맑음영광군4.2℃
  • 맑음김해시7.1℃
  • 맑음순창군6.2℃
  • 맑음북창원8.2℃
  • 맑음양산시7.2℃
  • 맑음보성군7.2℃
  • 맑음강진군4.7℃
  • 맑음장흥4.1℃
  • 맑음해남3.0℃
  • 맑음고흥6.8℃
  • 맑음의령군5.9℃
  • 맑음함양군6.1℃
  • 맑음광양시8.7℃
  • 구름많음진도군5.3℃
  • 맑음봉화0.9℃
  • 맑음영주4.4℃
  • 구름조금문경5.9℃
  • 맑음청송군1.7℃
  • 맑음영덕9.7℃
  • 맑음의성3.2℃
  • 맑음구미6.7℃
  • 맑음영천2.7℃
  • 맑음경주시4.0℃
  • 맑음거창4.9℃
  • 맑음합천5.7℃
  • 맑음밀양5.7℃
  • 맑음산청4.5℃
  • 맑음거제7.9℃
  • 맑음남해8.5℃
  • 맑음7.2℃
기상청 제공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 「동학농민군 편지」2건 국가등록문화재 등록 예고
  •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스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 「동학농민군 편지」2건 국가등록문화재 등록 예고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과 「동학농민군 편지」 2건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 예고하였다.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제주 이시돌목장 테시폰식 주택」은 아일랜드 ‘성 골롬반외방선교회’ 소속의 맥그린치(Patrick James McGlinchey, 한국명 ‘임피제’)신부가 1960년대 초, 제주도 중산간 지역 목장을 개척하는 과정에서 건축 자재가 부족했던 열악한 건축 여건을 극복하고자 도입한 ‘간이 쉘 구조체’ 공법의 건축물 2채(금악리 77-4번지·금악리 135번지 각 1채)다. 오늘날 제주도를 제외한 다른 지역의 테시폰식 건축은 모두 소실되었는데, 제주 지역에서만 테시폰 건축 24채가 현존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제주 이시돌 목장의 주택 2채가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갖고 있다. 해당 문화재는 근대기 집단 주택의 한 흐름과, 제주 지역의 목장 개척사, 생활사, 주택사의 흔적을 보여주는 소중한 근대건축유산이다.
  * 간이 쉘 구조: 곡면판재(플레이트)의 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쉘을 아치형으로 바꾼 구조
  * ‘테시폰(Ctesiphon)’: 이라크 고대 도시 유적인 (크)테시폰(Ctesiphon)의 아치 구조물의 형태를 참고하여 창안해 낸 건축 유형. 제주 지역의 테시폰은 아치 모양으로 목재 틀을 세우고 그 사이에 가마니를 펼쳐 깐 다음 시멘트 모르타르(mortar)를 덧발라 골격을 만들고, 내부에 블록으로 벽을 쌓아 공간을 구성함.
  * 이시도르(Isidore, 스페인의 천주교 성인): 농부의 수호성인으로, 제주 성 이시돌목장은 그 이름에서 명칭을 가져옴


 「동학농민군 편지」는 동학농민군으로 활동한 유광화(劉光華, 1858~1894)가 1894년 11월경 동생 광팔(光八)에게 보낸 한문(漢文) 편지다. 유광화(劉光華)는 양반가의 자제로서 동학농민군의 지도부로 활동하며 군수물자를 조달하고 화순전투 등에 참여한 인물이다.


  편지에는 나라를 침략한 왜군(일본군)과 싸우고 있으니, 필요한 군자금을 급히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제국주의 일본에 맞서 전투에 참여한 동학농민군의 의지와 그들이 처한 상황을 보여주고 있으며 ’동학농민혁명’이 농민뿐만 아니라 양반층도 참여한 범민족적 혁명이었다는 점을 밝혀주고 있어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동학농민군의 일원이 전투과정에서 직접 작성한 편지 원본이라는 희소성 면에서도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등록 예고되는 2건에 대해서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친 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등록문화재로 최종 등록할 예정이며, 근현대문화유산이 멸실·훼손되지 않도록 문화재 보호와 가치 확산에 적극행정으로 임할 계획이다.


image01.jpg

< 「동학농민군 편지」>



[자료제공 :(www.korea.kr)]
본 기사는 넷프로 인터넷뉴스 홈페이지의 데모기사 입니다.
등록된 기사는 테스트용이며 비회원이 복사한 자료일 수 도 있습니다.




포토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